제례역사

[스크랩] 우리나라 최초의 달력, 칠정산(七政算)

지와이원 2011. 8. 9. 07:30
우리나라는 설날, 추석 등과 같은 전통 명절과 중요한 집안 행사에 음력을 사용한다. 집안 어른들은 음력이 표시된 달력을 좋아하는데, 이 달력에는 동지(冬至), 대한(大寒), 입춘(立春)이라는 절기가 표시되어 있고 갑자년(甲子年), 을사일(乙巳日) 등의 간지(干支)도 나타나 있다. 우리나라의 음력 달력은 이슬람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순수한 태음력과는 달리, 태양태음력을 쓰고 있다. 달력을 만드는 역법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 한 태음력과 태양의 운행을 기준으로 한 태양력이 있고 달과 태양의 운행주기를 조정한 태양태음력이 있다. 우리나라 음력은 태음력과 태양력의 장점을 절충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서양 달력인 양력이 지배적인 요즘에도 우리나라 어른들이 음력을 고집하는 데에는 ‘살기에 편한’ 그 어떤 이유가 숨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새해 첫날 1월 1일은 그저 숫자에 불과할 뿐, 천문학적으로는 아무 의미가 없는 날이다. 1989년부터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 대신, ‘설날’이라는 우리 고유의 명절을 되찾고 3일 연휴를 즐기게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우리나라의 음력은 양력보다 우리네 생활과 더 밀접하게 연결된 과학적인 역법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근대 이후에 서양 중심의 세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조상들이 쓰시던 시간 개념 속에서 살았을 것이다. 우리 조상들의 시간 개념은 역법, 즉 달력 속에 담겨 있다.

조상들의 시간개념이 담긴 역법

역사적으로 각 문명권마다 시간을 나누고 헤아리는 방법은 달랐다. 먼저 해와 달의 운행이 규칙적이었기 때문에 이는 시간의 질서를 부여하는 기준이 되었다.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 해의 운행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 또 어떻게 날짜를 세고 이름을 붙일 것인가, 얼마나 정확하게 주기적인 자연의 변화를 반영하는가 등이 고민거리였다. ‘60간지’로 불리는 60갑자(甲子)는 10개의 천간(天干)과 12개 지지(地支)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하늘의 줄기’라는 뜻을 가진 ‘10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이고, ‘땅의 가지’란 뜻의 ‘12지’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이다. 60간지는 제1일을 갑자라 하고, 제2일을 을축, … 제60일을 계해라 하며, 계해에 이르면 다시 갑자로 돌아가는 60진법을 사용했다. 60주기는 동양에서 인간 생명의 자연스러운 한계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출생년도에 맞춰 뱀띠니 토끼띠가 결정되었고, 60년마다 또는 60일마다의 개념이 생성되었다.

중국을 비롯한 우리나라에서 역법은 국가의 사활이 걸린 사업이었다. 역법 제작의 권한은 아무에게나 주어진 것이 아니었다. 고대 중국의 유학자들은 하늘이 만물의 지배자로서 인간 중 한 사람을 뽑아 지배권을 주었는데, 그가 바로 중국 황제인 천자(天子)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 천자만이 역법을 제작할 수 있었다. 새로운 왕조가 탄생하면 새로이 역법을 제작해 그가 천명을 받았다는 사실을 입증해야만 했던 것이다. 『춘추』의 ‘하늘의 명을 받아 제도를 고친다’라는 ‘수명개제(受命改制) 사상’은 동양의 천문학과 역법을 크게 발전시켰다.

동양의 역법은 일과 월, 년을 구분하고 이름을 붙이는 달력보다 훨씬 복잡한 것이었다. 해와 달, 그리고 5행성(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위치와 운행을 천구상에서 계산하고, 일월식을 예측하는 천체력이었다. 우주 구조와 천체 운동을 포괄하는 천문학까지 역법에서 다루었던 것이다. 고도의 수학적·천문학적인 원리가 가득한 전문 과학서적이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조선의 역법 『칠정산 (七政算)』이라는 이름에서도 그 뜻을 알 수 있다. 칠정(七政)은 해와 달, 5행성 즉, 일곱 개 별의 운동을 계산해서 책으로 엮어 놓았다는 뜻이다.

동양의 역법과 천문학은 왕조와 황제의 권위를 보여 주는 학문이었다. 국가에서는 당대의 훌륭한 천문학자를 고용하여 보다 정확한 역법 제작에 힘을 쏟았다. 유럽의 경우, 1582년에 그레고리력으로 개정하기 직전에 율리우스력이 12일 정도의 오차가 있었는데 이는 중국이나 우리나라라면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일이었다. 우리나라의 태양태음력이 서양의 태양력보다 과학적이라고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역사적으로 태양태음력은 달의 움직임에 따라 만들어진 음력 날짜와 태양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계절 변화를 어떻게 일치시킬 것인가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중국 역법에 절기가 도입된 것은 음력에 태양력을 절충시키기 위해서였다. 절기란 태양이 황도상에 위치한 곳에 따라 나누는 계절적 구분을 말한다. 대한, 입춘과 같은 절기는 계절의 변화에 나타내는 천문학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조선의 독자적 역법서, 칠성산

우리나라는 조선 초기 세종대에 이르러 독자적인 역법서 『칠정산』을 편찬했다. 조선이 건국된 후, 새로운 역법의 제정은 시대적 요구였다. 유교적 세계관에서 하늘의 이치인 천리(天理)는 인간, 사회, 자연을 관통하는 본질적인 원리였기 때문이다. 천리가 담겨 있는 천체 현상을 관측하고 그 규칙성을 역법으로 체계화하는 일은 유교적 이상정치를 실현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당시 사용하던 중국의 역법인 『선명력』, 『대통력』, 『수시력』 등에서 계속 부분적인 오차가 드러났다. 이는 중국과 조선의 위도와 경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었는데, 실제로 『대통력』에서 예보한 일식이 조선의 한양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에 세종은 역법 개정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즉위 초기부터 수십 년간에 걸쳐 새로운 역법을 추진했다.

1423년(세종 5년) 『선명력』과 『수시력』의 문제점을 찾으라고 지시한 후, 어느 정도 자신감을 얻은 세종은 1433년에 정인지, 이순지, 김담 등에게 『칠정산』 연구에 착수할 것을 명했다. 동시에 천문 역법의 계산에 능통한 전문 관리들을 양성하고, 간의대와 혼천의 등 천문기기 제작도 함께 진행시켰다. 그 결과 1442년, 세종 24년에 이르러 우리나라 최초의 독자적인 역법서인 『칠정산』 내편과 외편이 드디어 완성되기에 이르렀다.
 
세계 최고 수준 천문학의 개가
 
『칠정산』 내편은 원나라 『수시력』을 바탕으로 명나라 『대통력』의 장점을 보태어 만든 역법이다. 특히 조선의 하늘을 정확하게 반영해서, 이해하기 쉽고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역법의 체계를 재구성한 조선의 독자적인 역법이었다. 상, 중, 하 3권으로 엮인 『칠정산』 내편은 상권 첫머리에 『칠정산』 편찬의 경위가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고, 천체 운행의 기본 수치가 나온다. 이어서 1장에 역일(曆日), 2장에 태양, 3장에 태음, 4장에 중성(中星), 5장에 교식(交食), 6장에 오성(五星), 7장에 사여성(四餘星, 4개의 가상적인 천체), 그리고 끝에 한양의 위도를 기준으로 매일의 해 뜨는 시작과 해 지는 시각, 밤낮의 시간표를 첨부했다. 특히 『칠정산』 내편에서는 1년의 길이를 365.2425일로, 1달의 길이를 29.530593일로 정하고 있는데 이 수치들은 현재의 기준값과 소수점 여섯 자리까지 일치하는 정확한 계산이다.
 
『칠정산』 내편과 더불어 이순지, 김담 등 세종 대의 천문학자들은 『칠정산』 외편을 편찬해 냈다. 중국 역법에 의존하지 않고 자주적인 역법을 세우기 위해서는 또 하나 소화해야 할 역법이 있었는데, 바로 『회회력』이었다. 『칠정산』 외편은 명나라에서 수입한 『회회력』의 오류를 바로잡고 조선의 하늘에 맞도록 고친 역법서였다. 이 책에서 참고하고 있는 『회회력』은 이슬람 세계의 역법으로서, 고대 그리스 천문학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당시 조선의 학자들은 중국의 역법과는 상당히 이질적인 『회회력』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회회력』은 그리스 천문학의 전통에 따라 그 각도 표시법부터 기존에 사용하던 것과 큰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문학자들은 이슬람 천문과 역법까지 통달하고 『회회력』의 한역본을 새로이 만들어 『칠정산』 외편을 완성해 냈다. 『칠정산』 외편은 그리스 천문학에 따라 원주를 360도, 1도를 60분, 1분을 60초로 한 새로운 기준을 수용하고 있는데, 이 방식은 오늘날에도 통용되고 있다.

『칠정산』의 편찬은 곧 조선의 천문역산학이 세계 최고의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의 역법 전통과 이슬람의 역법을 완벽하게 소화해, 15세기 조선의 하늘을 기준으로 하는 독자적이고 새로운 역법을 탄생시킨 것이다. 당시 중국과 이슬람 문화권과 비교했을때, 『칠정산』을 완성해 낸 조선의 천문학 수준은 세계에서 가장 높았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본문에 사용된 도판은 『시간 박물관』(움베르토 에코, 에른스트 곰브리치, 크리스틴 리핀콧 외 지음, 김석희 옮김, 도서출판 푸른숲 펴냄), 『조선의 과학기술』(박상표 지음,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엮음, 현암사 펴냄)에서 인용하였습니다.
출처 : 들.조.애
글쓴이 : 영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