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인들은 장수 3대 비결로 좋은 아내, |
Bitmap
훌륭한 주치의, 젊은이와의 대화를 꼽는답니다. | |
좋은 아내는 원만한 성생활과 섭생을 보장하고, |
훌륭한 주치의는 건강을 담보하며, |
젊은이와의 대화는 삶에 대한 생기를 |
불어넣는다는 것이지요. |
젊어 돈을 많이 벌었거나 높은 자리에 있던 사람 중 |
쓸쓸한 노후를 보내는 이가 의외로 많지요. |
사람들은 그들의 '좋았던 시절만'을 기억할 뿐 |
그 후의 '고독한 삶'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 |
젊어서 잘나가던 사람보다는 |
나이 들어 존경받는 사람이 |
진정 행복한 사람이 아닐까요? |
|
인생에는 3대 악재가 있다고 하는데.... |
|
첫째. 초년 출세 |
젊어서 출세한 사람은 종종 독선과 아집에 빠지거나 |
교만해지기 쉽습니다. |
또 여생 내내 과거만을 추억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요. |
24세에 최고기록으로 베를린 올림픽을 제패했던 |
고 손기정 선생은 60여넌 동안 금메달의 |
영광의 기억과 일장기를 달고 뛰었다는 |
회한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
30대 초반에 '황태자' 또는 '소통령' 소리를 들어가며 |
위세를 부렸던 전직 대통령 아들의 행로는 |
그 후 결코 순탄치 못했지요. |
50대 중반쯤 인생의 정점에 서고, |
60대에는 관록으로 대접받으며, |
이후 원로로서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
서서히 잊혀 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인생이 아닐까요? |
|
둘째. 중년 상처 |
4, 50대에 배우자를 잃게 되는 경우, 이혼하거나 |
60대 이후 사별하는 것보다 훨씬 큰 충격을 받게 된다는군요. |
자식들이 미처 성장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이런 일을 당하면 |
교육과 결혼은 물론 자신의 삶마저 엉망이 돼 |
버리기 때문이겠지요. |
이런 봉변을 하지 않으려면 부부가 가정의 중심이 돼야합니다. |
자식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지 말고 |
부부 위주로 가정을 꾸려 나가야겠지요. |
남편이 아내를 존중해 주고, |
아내가 남편을 가정의 중심으로 대접해 줄 때 |
부부가 해로 할 수 있고, |
아이들도 비로소 부모를 섬기게 되니까요..... |
|
셋째. 노년 빈곤 |
자식들 공부시키고 결혼까지 시켰지만 재산이 없는 경우... |
젊어서 고생과 가난은 인생의 자양분이지만 |
노년의 빈곤은 노추를 가져올 뿐이지요 |
우선 건강해야겠지만, 골프와 같이 돈이 많이 드는 취미가 아니라 |
등산, 영화감상, 미술관 순례와 같이 |
돈 적게 드는 건전한 취미를 가져야 좋겠지요. |
허심탄회하게 어울릴 수 있는 '오래되고 맛깔스러운 |
장'같은 친구는 또한 필수입니다. |
자리와 비즈니스로 만난 친구는 |
은퇴와 동시에 멀어지기 마련이니까요. |
|
- 가져온 글 -
|
|
-좋은글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