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자료

보약의 종류

지와이원 2012. 5. 6. 18:42

보약이란 현대 의학에서 다루지 않는 한의학 만의 처방이며

"인체의 생리기능 부족이나 대사장애로 생긴 신체의 이상이나

허약상태의 개선을 도와주는 약물"이라 풀이하고 있다.

보약은 증상, 성별, 체질, 연령 등을 감안하여 적용 하여야 함은 필수이다.
오행별 장기에 대하여만 간단히 사례를 들어보면 
1,간이 허약하여 눈앞이 침침하고 귀가 먹으며 무서움을 느낄때
2,심장이 허약하여 가슴과 배가 커지며 옆구리 아래와 잔등이 땅기고 아플때

3,비기가 허약하여 배가 그득하고 끄르럭

거리는 소리가 나며 삭지않은 설사를 하고 소화가 잘 안될때

 

4,폐기가 부족하여 숨은 제대로 쉬나 숨결이 아주 약할때
5,신기가 부족하여 가슴과 윗배,아랫배가 아프며 팔다리가 싸늘해 지고 우울할때

 

이것은 5행상 각각 장기의 허증을 말하고

이러한 증상에는 양방의 개선되는 처방은 없다.

따라서,흔하게 몸살 감기에 무척 취약하여 달고 살거나

소화가 되지않아 먹기를 두려워 하고 때론 삭지않는 설사를 하는

경우에는 양방은 그 근원적 처방을 하지 못하며 그져 해열 두통약이나

소화제,지사제로 단순히 나타나는 증상만 완화시킬 뿐,

항차 몸은 더욱 쇠약하고 소화제 지사제로 더욱더 소화기관의 허약을 초래한다.

이것은 양방(서양의학)이 신체적 결함이나 기형,후천적 감염,

외상에 의한 신체 내,외부의 장애에 한정하고 있기 땨문이다.

따라서, 쇠하여 허약한 체질에는 필경 보약으로 개선 되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보양약(補陽藥)
보양약은 심장,비장,신장 등의 양의 기능이 허하여 진것을 보하는 약제이다.

한의학 에서는 신장이 모든 기(氣)의 근본이라

여기고 일반적 양허(陽虛)는 신장의 양기가 부족 한걸로 여기고 있다.

양방에 기능조절과 물질대가,생식선 기능촉진,

체내 저항력 증강을 의미 하는것과 같다.

대표적 보양약으로 녹용(鹿茸)이 있으며 처방전으론 신기환,우귀음  등이 있다.
2,보음약(補陰약)
보음약은 폐,위,간,신장의 음허(陰虛)를 보하는 약제이다.

인간은 선천적 신음(腎陰)후천적 위음(胃陰)있으며

신음과 위음을 자양하는 약제를 말한다.

신장의 음허는 허약과 이명,허리 무릅의 연약,약한 맥박 등의 증상을 보인다.
쓰이는 약제는
만성 신장염,단백뇨 =>구판(龜板)
머리가 어지럽고 시력이 감퇴되는 경우=>여정자
위음허로 식욕부진,번갈,변비,탈수 =>사삼,맥문동이 있으며
대표적 처방전으로 대보음환,육미지황탕,좌귀음 등이 있다.
3,보기약(補氣藥)
보기약은 폐와 비장의 기운이 허약한 증상을 보하는 약제이다.
일반적으로 피로,권태,말수가 적고 식사량이 줄어든다.
대표적 약제로 인삼이 쓰이는데 인삼은 회복력과 사지냉감(四肢冷感),자한,안면창백,맥박의 쇠약 등의 증상에 유효하다.
그 밖에 황기,당삼,백출, 등이 쓰인다.
대표적 처방전으로 사군자탕,심령백출산,보중익기탕 등이 있다.
4,보혈약(補血藥)
보혈약은 영양소와 혈액이 허약한 상태를 보하는 약제이다.
혈이 허하면 머리가 어지럽고 안색이 창백하며 빈혈,가슴이 두근거리고 맥박이 약함,생리불순 등이 일어난다.

대표적 약제는 하수오(은조롱)는 허약체질,허리 무릅의 저림,

어지러움, 조로(早老),유정,대하 등에 쓰이며 당귀(當歸)는 빈혈,

혈액순환 개선,자궁기능 조절,생리와 배란의 촉진 등에 쓰인다.

대표적 처방전으로 사물탕,당귀보혈탕,귀비탕 등이 있다.
5,기혈쌍보약(氣血雙補藥)
기혈쌍보약은 기와 혈을 동시에 보하는 약제이다.

기혈이 동시에 허약하면 얼굴에 화색이 없고 현기증,

어지러움,짧고 가쁜 호흡,가슴의 두근거림,약한 맥박 등을 동반한다.

일반적으로 인삼,황기,감초 등의 보기약과 당귀,백작약,

하수오 등의 보혈약과 아교,용안육 등을 함께 처방한다.

대표적 처방전으로 팔진탕.자감초탕, 십전대보탕 등이 있다

종로나그네